Babel과 Webpack의 필요성

프론트 개발자들에게 Babel과 Webpack은 친숙한 도구들일 것이다. 상용 서비스를 개발한다면 적어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만큼 중요한 도구들이다. 빠르게 진화하는 프론트세계에서 과거의 유물(구형 브라우저)들에 대한 호환성을 제공하는 매우 유익한 도구들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BabelWebpack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두 도구의 핵심을 빠르게 훑어보자. 아래 핵심설명을 보자면 역할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높은 개발생산성과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한 도구라고 볼 수 있다.

  • Babel :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한 트랜스파일러(최신 문법을 브라우저에 호환되는 문법으로 바꿔줌)
  • Webpack : 브라우저 호환을 위한 모듈시스템 구성, 다수의 의존관계에 있는 모듈들을 하나의 js파일로 만들어줌으로써 응답속도를 향상 시켜주는 모듈번들러


Babel

ES6이상의 최신 문법은 구현 브라우저에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이전 버전의 문법으로 전환이 필요한데 해당 기능을 해주는 도구가 Babel과 같은 트랜스파일러이다.

babel은 npm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빌드 시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save-dev 옵션으로 devDependencies에 넣어주자.

$ npm install --save-dev @babel/core

이후 루트경로에서 babel.config.json를 만들고 plugin, preset을 추가하여 빌드 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줄 수 있다. plugin, preset은 조금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지금은 빌드 시 처리할 행동목록이라고 이해하면 편할 것 같다.

$ npx babel [파일] --out-file [변환후파일]

위 명령어를 통해 원하는 파일을 트랜스파일 할 수 있다. 이때 babel은 3단계를 거쳐 결과를 만든다.

  • Parsing : 코드 -> AST(추상구문트리)
  • Transforming : AST -> 변환된 코드
  • Printing : 변경완료된 결과를 다른 파일로 출력한다.

만들어진 결과물은 지정한 문법수준으로 트랜스파일 되었을 것이다. 이제 Babel 사용법에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Babel 설정하기

babel.config.json, .babelrc 또는 package.jsonbabel 키를 이용해서 설정을 할 수 있다.

.babelrc파일은 경로별 구성이 가능하다. 폴더 구조별로 각각 다른 설정이 가능하다.
babel.config.json은 전역 프로젝트 구성용이다. 물론 .babelrc를 루트경로에 설정한다면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파일 내부를 보면 아래와 같다. 다른 옵션도 있지만 크게 plugin과 preset이 존재한다. 이 둘은 리스트 형식으로 빌드 시 수행할 동작을 추가해 줄 수 있다.

// babel.config.json
{
  "plugins": []
  "presets": []
  ...
}


Plugins

plugins은 Babel이 코드변환(빌드) 시 수행할 동작 리스트이다. 직접 만들 수도 만들어진 플러그인(npm으로 다운)을 사용할 수도 있다. ES6+ 문법들에 대해 이하 버전으로 트랜스파일링 동작을 수행하는 플러그인들이 존재하는데 문제는 각 문법들(화살표 함수, const 등)마다 plugin 하나씩 전부 추가해야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preset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ES6 문법인 Arrow Function을 plugin을 통해 트랜스파일하는 예시이다. npm을 통해 plugin을 하고 config 파일에 작성해주면 끝이다.

$ npm install --save-dev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 babel.config.json
{
  "plugins":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

하지만 앞서 말했듯 ES6문법을 전부 트랜스파일하기 위해 각 문법마다 plugin을 작성하기에는 노가다성이 짙다. 여기서 preset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Presets

preset은 여러 plugin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도구세트이다. ES6+ 문법 중 에서 하위버전에 상응하는 문법이 있는 것들(화살표함수, const 등)을 전부 @babel/preset-env에 들어있다.
해당 preset을 추가하는 것은 plugin와 별반 다를 바 없다. npm으로 설치 후 config파일에 넣어주기만 하면된다.

// .babelrc 
{
  "presets": [
    ["@babel/preset-env", { "targets": { "browsers": ["last 2 versions", ">= 1% in KR"] } }]
  ]
}

위 코드에서 targets이라는 옵션이 보일 것이다. 이 옵션은 Babel만이 가지는 큰 장점인데 트랜스파일링 기준을 문법이 아닌 브라우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브라우저와 그 버전마다 지원해주는 ECMAScript 문법버전이 상이한데 제공하고자 하는 브라우저리스트를 명시하여 보다 높은 호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위의 문법은 ‘모든 브라우저의 가장 최신 두 버전 중 한국에서 1% 이상의 점유률을 가지고 있는 브라우저’라는 의미)


Polyfill

@babel/preset-env preset에서 ‘하위 버전과 상응가능한 문법들’ 이라고 얘기했다. ES6에서 처음 등장한 Promise, Map, Set과 같은 객체들은 이하 버전에서 상응하는 문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상응되는 하위 버전이 없는 문법들의 동작방식을 수정하도록 도와주거나 새롭게 구현을 해주는 라이브러리가 @babel/polyfill이다.

@babel/polyfill은 config파일에 작성하는 것이 아닌 실제 프로젝트 파일 중 가장 루트에 작성한다.(서로다른 파일에서 또 작성하면 충돌이 난다고 한다.)

import '@babel/polyfill';


Babel의 특징

지금까지 살펴본 Babel의 특징을 정리해보자면(+ α)

  • ECMAScript 버전이 아닌 브라우저리스트를 통한 더 높은 호환성
  • 커스터마이징, 확장성에 강점을 보임(플러그인, 프리셋 사용)
  • source-map 지원을 통해 컴파일된 코드를 쉽게 디버깅할 수 있다.
  • 하지만 컴파일 과정이 느림(또 다른 트랜스 파일러인 SWC에 비해)


Webpack

Webpack은 js의 모듈시스템을 브라우저에서 호환가능한 형태로 바꿔주며 모듈로 이루어진 파일들을 번들링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준다. 번들링한 파일을 브라우저로 로드함으로써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다.

💡 번들링이 응답속도가 빠른이유
번들링 하지 않는다면 연관된 모듈파일들을 브라우저상에서 로드하게 될 것이다. 특히 HTTP/1.1 버전의 경우 필요한 스크립트파일을 하나씩 로드할 것이다. 브라우저에서 모든파일을 로드하는 방법은 파일당 네트워크 통신시간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작으로 느릴 수 밖에 없다.

Webpack을 이용하여 빌드 시 모듈들을 IIFE(즉시 실행 함수) 형식으로 감싸준다. IIFE의 가장 큰 특징은 해당 함수만의 스코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모듈간의 스코프 문제로 인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 모듈을 IIFE로 감싸는 이유
Javascript는 파일이 달라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지닌다.(ES6 이전) 모든 파일이 하나의 스코프를 지님으로써 서로 다른 파일에서 동일한 변수명이 존재할 수 있어 프로그램 동작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IIFE는 본인만의 스코프를 지녀 젼역 스코프로 인한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다른 IIFE 형식의 번들러 도구들(Make, Gulp 등)과 달리 Webpack은 의존성 그래프를 생성하여 빌드해준다. 이는 최종 결과물의 번들파일이 어떤 파일에 의존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제 Webpack을 설치하고 구조를 확인해보자. 아래 명령어를 통해 devDependencies에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수 있다.

$ npm i -D webpack webpack-cli

기본적으로 명령어와 옵션들로 설정을 해줄 수 있지만 사용하는 옵션이 많아질수록 명령어 입력하기가 번거로워지고 가독성도 좋지않다. webpack.config.js파일을 만들고 설정을 등록해주는 것이 편하다.

webpack에서 핵심은 entry, output, module, plugin이라는 개념이다. 하나씩 살펴보자.

// webpack.config.js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 development, production
  entry: '',
  output: {
    path: '',
    filename: '',
  },
  module: {

  },
  plugins: [],
};


Entry(진입접)

Entry는 webpack이 번들링을 진행시킬 진입점이다. Webpack은 entry에 명시된 파일을 기준으로 트리를 만들고 번들 파일을 뱉어낸다.

module.exports = {
  entry: "./src/index.js",
};


Output(결과 번들파일)

결과로 만들어지는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module.exports = {
  entry: "./src/index.js",
  output: {
    path: "/",
    filename: "bundle.js"
  }
};


Loader

module에 작성하며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아닌 HTML, CSS, Images, 폰트 등도 함께 번들링할 수 있다. rules 속성에 처리 규칙을 작성한다. test에 매칭되는 항목을 use에 등록된 loader로 처리한다는 의미이다. loader로는 css-loader, babel-lodaer 등이 있다.

module.exports = {
  entry: "./src/index.js",
  output: {
    path: "/",
    filename: "bundle.js"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style-loader", "css-loader"],
      },
    ],
  },
};


Plugin

추가적으로 기능을 더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Loader와의 다른점은 Plugin은 번들링이 되어있는 파일을 처리한다. 이전 결과물을 제거하거나 결과물에 빌드 정보 등을 추가하는 플러그인 등이 존재한다.


Webpack의 장점

Webpack의 장점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모듈 호환성 및 의존성 관리
  • 빠른 컴파일
  • 코드 스플리팅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듈을 원하는 타이밍에 로딩 가능
  • 소스 코드 최적화 - uglify(난독화)/minify(압축)
  • 소스 맵 설정을 사용함으로써 컴파일된 파일에서도 원래의 파일 구조를 확인 가능


참고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